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통화량으로 보는 아파트값의 변화 - m1, m2

투자/부동산

by 디지돈 2023. 8. 11. 11:11

본문

반응형

통화량으로 알아보는 아파트값의 상관관계

통화량과 서울아파트값

안녕하세요 디지털돈마드(디지돈) 입니다.

오늘은 이전에 공부하던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부동산 투자, 특히 아파트를 투자하는 사람중에서는 해당 지역에 공급과 수요를 중요시 하고 있습니다. 저도 지역에 따라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수도권은 통화량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게 전부는 아니지만 혹시라도 투자하는데 참고하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통화량 / M1 / M2

여기서 간단하게 해당 용어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통화량이란?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유통량을 통화량이라고 하는데, 측정하는 지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이고 좁은 의미의 통화량은 민간인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에 은행의 요구불 예금을 합한 것이다.

쉽게 말해 시중에 풀려 있는 돈이다.

 

 

M1

협의통화(M1)는 화폐의 기능을 중시한 통화로서 현금 및 수시 입출식 예금 등 우리가 지금 보유하고 있는 현금통화와 언제라도 현금화가 가능한 은행 예금을 더한 것을 말한다.

 

M2

광의통화(M2)는 이자소득을 포기하면 언제든지 인출이 가능한 통화까지 포함한다. 즉,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 돈를 말한다.

 

통화량과 아파트매매지수

통화량과 서울아파트매매지수 그래프만들기

1. 통화량 다운받기

2. KB월간시계열 다운받기

3. 월별 취합하기

4. 그래프 만들기

 

1. 경제통계시스템 > 통화량 다운 받기

경제통계시스템
통화량 자료 다운로드 받기

 

2. KB부동산 > 통계자료실 > 월간시계열 다운 받기

KB 월간시계열
KB부동산 월간시계열 다운로드 받기

 

 

3. 다운 받은 값들 월별로 취합하기

엑셀 정리
엑셀로 월별로 취합하기

 

 

4. 차트로 만들기

서울 통화량지수 차트

값의 차이는 있지만 M2와 서울 아파트 매매지수의 기울기가 어느정도 비슷하게 흘러가는 것이 보인다.

 

m1/m2와 서울매매지수

M1/M2 으로 수치를 나눠서 KB부동산 월간시계열의 서울매매지수를 넣어서 그래프를 만들어서 보면 통화량이 늘어날 수록 아파트 지수가 올라가고 통화량이 줄어들면 보합이나 하락하는 지표가 보인다.

 

즉 돈이 시중에 많이 풀리면 화폐가치가 하락해서 실물자산인 부동산,

특히 입지가 좋은 서울 부동산으로 돈이 몰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무리

전에 잭파시님 책을 보고 블로그와 톡강의를 들으면서 구글스프레드시트에 정리해 놓고 업데이트를 한번씩 하고 있는 자료들이다.

누구나 가능한 작업이고, 자료 찾고 복사 붙여넣기와 마우스 클릭만 몇번 하면 가능하다.

 

미국의 경우에도 부양책 등 시중에 달러를 지속해서 찍어내는 정책을 펼치면 그 막대한 유동성이 실물자산의 상승(화폐가치의 하락) 으로 이어질 것이다.

코로나로 인한 통화량 급증으로 인한 미친듯 상승하는 실물자산이 그렇지 않았는가.

 

지금이야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긴축을 하고 금리가 인상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다시 화폐가치의 상승(실물자산의 하락)이 되고 있지만 이것이 영원히 지속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은 준비하는 시기이고 현금 파이프라인을 세팅하는 시기다.

통화량을 잘 지켜보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